Showing posts with label 습관.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습관. Show all posts

육아 팁: 아이의 독서 습관을 어떻게 키울 것인가?

아이의 좋은 독서습관이 평생 가므로 부모님들이 자신의 아이가 좋은 독서습관 그리고 책읽기를 좋아하면 좋겟다는 생각은 다 가지고 있을 것이다. 하지만 부모의 욕심때문에 혹은 옆집 아이는 혼자서 이미 글자수가 많은 책도 척척 읽어내는데 하는 조바심 때문에 아이를 밀어붙이면 오히려 아이가 책하고 멀리하고 독서자체를 싫어하게 될 수도 있다.

물론 나도 처음에 하루 빨리 혼자서 아이가 책읽을 수 있고 책읽기를 좋아했으면 하는 욕심때문에 초반에 밀어붙이다가 이건 아니다 싶어서 "어떻게 아이의 독서 습관을 키워야 되는 지?"에 대한 의문을 가지고 여러가지 공부하다보니 독서의 기본과 목적에 대해 알고 나니 한결 편해지고 한발 물러서서 아이가 차츰차츰 혼자서 읽겠다는 때가 오는 것을 보면서 어떻게 좋은 독서습관을 키워야 할 지에 대해서 아래 몇가지로 정리가 되는 것 같다.

  • 독서의 기본과 목적
  • 어떻게 독서 습관을 키워야 하는 지
    • 언제까지 같이 읽어줘야 되지?
    • 어떤 책을 골라야 되지?
    • 어떻게 읽어야/읽어줘야 되는 거지?


독서의 기본과 목적

먼저 독서의 기본과 목적을 알고 나면 아이를 급급히 많은 책을 혼자 읽게끔 다그치는 데서 한걸음 물러설 수 있는 것 같다.  '부모의 말' 저자인 김종원 작가님이 말씀하신 건데 

"독서는 끝을 보기 위해서가 아니라 멈추기 위한 지적행위이다."


"빨리 오늘 읽을 5권을 읽어야지"가 아니라, 책을 한권, 열권, 몇십권을 공격하듯이 읽는 게 중요한 게 아니라, 관심있는 페이지에서 생각하면서 읽다보면 멈추게 되고 생각하게 된다는 것이다. 생각하면서 한권을 잘 읽는 게 훨씬 중요하다는 얘기이다. 


어떻게 독서 습관을 키워야 하는 지

언제까지 같이 읽어줘야 되지? 
언제부턴가 다른 아이들이 혼자 읽는 다는 얘기를 들으면 혼자서 책읽기를 싫어하는 아이라면 부모로서 "언제까지 같이 읽어줘야 되지?" 하는 의문이 든다. 그러다가 문득 영상을 봤는데 최대한 아이가 혼자 읽고 싶다고 할 때까지 같이 읽어주 는게 좋다는 전문가의 말을 듣고 나서 조금은 힘들지만 계속 같이 읽어주는 걸 견지 했다. 

물론 가끔씩 "이 책은 쉬운 것 같은데 한번 혼자서 읽어 볼래?" 하고 물어봐주었고 처음에는 "싫어요"가 더 많았던 것 같은데 어느 순간부터인가 한페이지씩 바꿔가면서 읽다가 지금은 한권은 부모가 읽어주고 한권은 직접 읽는 패턴으로 바뀌어가고 있다.

어떤 책을 골라야 되지?
또 하나의 의문점은 그러면 어떻게 어떤 책을 골라줘야 하는 가이다. 나이에 따라 레벨을 표기한 책들도 많고 가장 쉬운 방법은 도선관에서 빌려보는 방법이다. 돈도 절약하지만 도서관을 가는 습관을 들이는 것도 독서와 가까워지는 방법이니까, 그리고 도서관에서 난이도에 따라 아이들의 책을 분류하고 있는 곳도 있어서 좋았던 것 같다. 

아이의 레벨에 따라서 혼자서 읽을 수 있는 책과 읽어줘야 하는 책을 섞어서 빌렸는데 토픽 같은 경우에는 아이의 최근 관심사에 대해서 책을 빌리면 가장 좋은 것 같다. 옆집 아이가 읽는 책 말고 자신의 아이가 어떤 것에 관심이 많고 어떤 토픽을 좋아하는지 말이다. 때에 따라서 공룡, 동물, 마인크래프트, 포켓몬... 쭉 최근 관심사에 관련된 책을 같이 섞어주니 책에 대한 거부감도 없어지고 독서가 조금씩 재밋어지는 느낌이 있었다.

어떻게 읽어야/읽어줘야 되는 거지?
앞서 독서의 기본과 목적을 알았다면 어떻게 읽어줘야 되는 지에 대한 답도 짐작이 갈수 있다. 생각하면서 읽을 수 있도록 혹은 읽어주기 위해서는 읽는 우리도 생각하면서 읽어야 된다. 그리고 궁금한 점이나 아이가 관심가질만한 질문들을 아이랑 같이 해보면 좋은 것 같다. 책을 읽는데만 그치는 것이 아닌 대화를 계속 이어나가고 책에 대해서 토론을 할 수 있게 하는 것은 아이 잘 키우기로 유명한 유태인들의 책읽어주는 방식이기도 하다. 따라서 부모의 네가지 질문도 이 습관을 키워주는 데 도움이 된다.

  • 어디서 멈췃니? (어떤 페이지가 아이가 가장 좋아하고 생각하게 만들게 되었는지)
  • 왜 거기서 멈췃니?
  • 거기서 무슨 생각을 했니?
  • 어떻게 일상생활에 활용할 거니?

성공한 연구생 박사생이 되기 위한 7가지 습관 (Seven secrets of highly successful research students)

오늘은 Flinders University, Australia에서 Hugh Kearns 교수님이 강연하는 워크샵에 참가했다. " 성공한 연구생 박사생으로 가는 7가지 습관" (Seven secrets of highly successful research students)라는 제목으로 한 강연은 기존에 참가한 연구생들로부터 많은 좋은 피드백을 받았다고 해서 기대해서 갔는데... 기대이상이였다.

http://ithinkwell.com.au/ 을 운영하고 있는 Hugh Kearns는 박사과정은 힘든 과정이지만 힘든 과정을 덜 힘들게 할 수 있는 7가지 시크릿 (습관)에 대해서 강연했고 확실히 외국에서 박사과정을 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 같다.



  • 교수님과의 관계를 잘 가꾸기 (Care and Maintenance of your Supervisor)
          - 외국에서 Supervisor과의 관계는 (케이스바이케이스겟지만) Advisor(미국)이 더 맞는 단어선택인 것 같다. 교수님은 엄청 바쁜 스케쥴을 소화해내고 있고 문제가 생기거나 필요할 때는 자신이 주도적으로 찾아서 조언을 구해야 하는 존재지 어떤 걸 해라고 일일이 알려주는 존재가 아니다.
          미팅은 정기적으로 (매주, 2주) 자주 하는 것이 시행착오를 최소화하기 좋고 미팅때마다 자신이 목록 (Agenda)를 만들어서 어떤걸 어떻게 물어봐야 하는지 정리해서 가고 이메일을 사전에 보내주는 것이 좋다. (교수님이 생각할 시간이 필요하고 미팅시간을 효율적으로 응용할 수 있다)

  • 당장 쓰는 것부터 시작하라 (Write and show as you go)
          - 가장 많이 듣는 말이지만 쓰는 것은 지금 바로 시작해야 한다.
          읽는 것도 중요하지만 정리하고 써봐야 내용이해를 더욱 잘 할 수 있고 자신의 아이디어를 생각하는데 도움이 된다. 실제로 나의 학생들은 시작한 날부터 쓰기를 시킨다. 자신의 토픽에 대해서 알면 아는 것에 대해서 정리하고 모르면 뭘 모르는지 정리한다. (이것이 향후 논문을 찾아서 채워야 할 부분이 될 수 있음). 하지만, 쓰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쓴 내용을 다른 사람한테서 피드백을 받는 것이다. 그것이 그냥 선배한테 보여주든 교수님한테 보여주든...

  • 현실적으로 접근하라 (Be realistic)
          - 현실적으로 박사과정을 직시할 필요가 있다... 필경 이 과정은... 노벨상 받는 과정이 아니다. 뭔가 너무 완벽하고 큰 것을 향해서 가는 것보다는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3, 4년 사이에 완성할 수 있는 연구성과여야 한다. 

  • 1시간하더라도 집중해서 하자 (Say no do distractions)
          - 박사과정은 누구의 감독도 없기 때문에 다른 것들에 의해서 집중력이 분산 될 수 있다. 이메일, 소셜 네트워크, 집안 청소... 이런 것들을 하는 데 잘못은 없지만 항상 우선순위가 연구가 우선순위여야 한다는 것이다. 먼저 오늘 하려고 했던 연구를 하고 다른 것을 하는 습관을 키워야 하고 발을 땅에 붙이면 1시간, 2시간동안 그것만 하는 습관을 키워야 한다.





  • 박사과정은 엄연한 직업이다. (It's a job)
          박사과정은 엄연한 직업이다. 정규적인 (10시-6시) 출퇴근 및 기타 스케쥴을 정해서 준수하고 시간관리를 잘해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10시에 출근해서 10시에 퇴근한다고 해서 많이 한 것이 아니라 6시에 정시퇴근한다는 것을 념두에 두고 시작하면 우선 연구부터 하게 되는 습관이 양성된다.

  • 도움을 받아라. (Get help)
          - 모든 것을 혼자 할 필요는 없다. 어려운 부분은 그 부분을 잘 하는 사람과 협력해서 해결하고 도움을 부탁하고 또는 논문을 같이 쓰는 것도 필요하다.

  • 할 수 있다. (You can do it. A Ph.D is 10 percent intelligence and 90 percent persistence)
           - 가장 중요한 파트인 것 같다. 호주에서 박사과정을 논문을 제출해서 실패할 확율은 1%도 안되지만 35%가 중도에서 여러가지 원인으로 그만두게 된다. 1%는 학부, 연구생과정보다 훨씬 낮는 확율이다. 물론 일정한 지능이 필요하지만 그만한 지능은 다 갖추고 있고 중요한 것은 견지하는 것이다. 10번의 실험결과에 아무런 결과가 안나와도 11번째 실험을 하는 끈기가 끝까지 달릴 수 있는 마지막 시크릿이다.

PS: 데이터백업은 자주 여러곳에 하는 습관을 키우자. 4년동안 컴퓨터가 한번은 고장나게 돼잇다.